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Traceability와 정보기술 공개(Traceability and Accountability for Food)

전문가 제언
□ 최근 수년에 식품의 위장허위 문제나 허위표시 등의 불상사가 속출하여, 완전히 소비자의 불평과 불안은 대단하다. 보사행정은 신뢰를 잃어버렸다.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뿐만이 아니고 세계적 문제로 되고 있다. 그래서 영국이나, 일본에서는 부처를 초월한 상위조직으로 식품안전위원회가 설치되어 식품위생문제를 범 부처차원에서 관리하게 하고 있다. 식품안전위원회에서는 부처를 초월한 차원에서 안전성의 논의로부터 위해분석 등이 검토되고 있다.

□ 최근, 식품안전성 관리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정보공개와 생산과 유통의 이력추적(Traceability)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 이와 같은 목적에서, traceability의 역할은 크게 나누어 2가지가 있다.
- 식품사고 발생시의 추적이나 회수를 용이하게 하며,
- 생산정보 등을 제공하여 소비자와 「얼굴이 보이는 관계」를 구축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농수산성의 「식(食)과 농(農)의 재생 프로젝트」에서도, 이 2가 지점이 포괄되어 traceability라 하고 있다.

○ 농산물 네트인증 시스템(VIPS)을 구축하여 모든 농산물에 대하여 traceability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함에, 이 청과네트 카탈로그는 공 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재)식품유통구조개선촉진기구, (독립법인)식품총합연구소, 농림수산전자 연구계산센터(농림성)가 협력하여 운용하고 있다.

○ 소위 야채와 과실(1700품목이상)의 이력을 누구에게도, 어디서부터라도, 무료로 등록되어 연락가능한, 세계처음의 대규모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 이 농산물 네트인증 시스템은 WTO체제에서 지역 특산 농산물의 품질보증을 통한 자국농산물의 보호에도 크게 기여하며, 원산지 표시제도의 실행에 매우 고무적인 시스템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인터넷 식품 특히 축산물의 유통관리에 일부 활용하고 있으나, 그 수준과 관리가 미흡한 것이 보인다. 이웃 일본의 농산물 네트인증 시스템(VIPS)은 아직 시범운용수준이나 우리나라에서도 그들의 연구시험결과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우리의 식품유통관리에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Junichi SUGI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99(3)
잡지명
일본양조협회지(C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6~163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