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식품구매동향과 2004년 식품니즈(A Trend in Purchase of Food Observed in 2003 QPR Data and Directivity of Needs for Food in 2004)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2003년도 4/4분기 소비지출은 1인당 월평균 106,719엔으로 교통 · 통신비(+4.5%)와 교양 · 오락비(+3.4%)는 증가했지만, 식품은 실질적으로 감소했다. 단, 식품지출액은 변하지 않았지만, 상품선택의 내용이 고급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제품구매는 주로 주부들이 주도한다는 것이다.
□ 이러한 경향은 우리나라에서도 유사하다. 식품의 1 · 2차 기능인 영양 및 기호성보다는 기능성에 역점을 둔 제품과 식단이 생식 · 건강식 · 건강보조식 · 특수영양식 등의 이름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 이처럼 수명이 연장되고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사람들은 자연히 건강문제와 즐기는 생활에 관심이 많아지게 되는 것은 당연한 추세이기도 하다. 이러한 소비심리에 부응하는 식품개발이 이루어져야 매출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에 식품개발전략의 초점이 모아져야 할 것이다.
□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빈곤층이 식량부족으로 굶주리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할 수 없다. 여기에서 식품의 개발전략이 두 측면을 지향해야 할 당위성에 직면하게 된다. 하나는 수익을 목표로 한 소비자지향적 제품개발이요, 다른 하나는 생명을 구하기 위한 생존식의 개발이다. 전자가 수익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면, 후자는 영양 및 기호성을 갖춘 식품을 여하히 낮은 제조원가로 생산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 국가나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 국내에서도 생존식의 개발생산이 이루어져 국내외 굶주린 빈곤계층에게 빵을 물처럼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려 경제정의와 분배의 정의를 구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 저자
- Y. ITO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9)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4~43
- 분석자
- 임*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