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송 폴리페놀의 항산화 활성
- 전문가 제언
-
□ 프랑스 해안 소나무껍질(松皮) 추출물의 특성
○ 프랑스의 해안 소나무껍질(松皮)에서 추출한 폴리페놀은 flavandienol 이며,「Oligomeres procyanidoliques」로도 약칭해서 OPC로 부르고, 이 물질에 대한 생리작용에 관한 연구도 왕성하다.
○ 특히 소나무로부터 추출된 OPC를 유효성분으로 한 의약품이 「 FLAVAN」의 명칭으로 혈관 보호 약으로서 오래 동안 사용되고, 기타 구미각국에서도 OPC의 약리작용을 이용한 건강식품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 Flavandienol의 SOD 유사 활성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식 품 소재와 비교하여, 약 1.2~6.5배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 소나무 Flavandienol 성분의 항산화 활성 효과
○ 최근 지구의 환경조건은 ozone hall의 생성에 의한 지표(地表)에 자외선 도달량의 증가와 대기오염, 신규화학물질의 증가 등에 의해 산화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있다.
○ 즉, 문제의 환경에 살아가는 현대인의 free radical 방어시스템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소나무의 항산화 활성에 큰 기대를 하고 있다. 주된 기능성 성분인 flavandienol의 항산화 활성은 in vitro, in vivo, 임상에서 높은 효과가 보여,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설명이 가능한 식품소재로 확인되었다.
○ Flavandienol의 70% 이상은 폴리페놀류이며, 또, 35% 이상이 수용성인 OPC로, 생체의 흡수가 좋아 높은 생리활성을 보인다.
□ 앞으로의 연구 방향
○ 소나무 폴리페놀과 다른 식물원료 유래 의 폴리페놀과의 생리작용의 차이는 이들 구성성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각 성분의 구조와 활성 상관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된다.
○ 다만, 현재 공급되고 있는 소나무 폴리페놀의 약리작용만이 아니고, 안전성에 관한 확인이 충분한가 하는 문제가 또한 중요하다.
○ 그리고 동양의학에서도 소나무 입이나 송피에 대한 약리효과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고, 실제 건강식생활(생식)과 임상에서도 활용이 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해송은 본 주제의 프랑스 해안송과 유사하며, 우리나라 산림의 80%가 소나무이므로 목제측면의 연구만이 아니고 건강기능성 물질개발의 측면에서도 보다 기초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 또, flavandienol은 향기, 색, 용해성 등의 점에서 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조건을 충분히 만족되고 있어,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좋은 소재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저자
- MORI Sadao; Takagaki Kim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6(5)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A0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7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