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Kitakyusyu 에코타운 사업의 이후 방향(The Environmental Policy of the Next Fiscal Year : Future Direction of Kitakyusyu Eco-town : From Eco-town Area to the Whole Area of City)

전문가 제언
□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는 자동차 공해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 수질악화, 소음공해와 악취 등 환경의 오염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바, 이는 산업화가 고도로 진전되고 있는 전 세계적인 고민이라 할 것이다.

□ 이러한 가운데 도시지역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서 환경보전과 개발을 함께 조화시켜서 도시계획에 반영하는 생태도시 개념이 생겨났으며, 녹색도시나 환경도시라고도 한다.

□ 이미 미국이나 독일, 영국, 일본, 덴마크, 네덜란드 등 선진국에는 많은 사례가 도입되어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1996년 대전 시에서 생태도시 계획을 수립하여 일부나마 하천을 정화시킨 바 있다.

□ 최근 우리나라도 생태도시의 본격 도입을 위해 수원 인근에 그린플랜으로 추진예정이며, 이것이 성공사례가 된다면 다른 곳에도 도입에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 본문에서의 에코타운은 이러한 생태도시보다 환경관련 산업을 집단화시켜서 리사이클링 및 자원순환형 자족도시에 비중이 좀더 큰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환경 중심이라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다.

□ 다만, 환경생태도시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각 지역이 처하고 있는 특수성을 충분히 살리고 환경 외에도 에너지절약과 교통 측면 등 포괄적인 검토가 따라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저자
Hirotoshi KAKISAK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0(4)
잡지명
Environment management(N016)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42~350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