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기의 수명과 재구축
- 전문가 제언
-
□ 사회가 발전하면서 편리성 때문에 전기기기의 수요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특히 정보화 사회에서 그 비중은 더하여 가고 있어서, 이와 함께 보전점검과 수명 예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플랜트에서는 원격감시 시스템과 함께 공장을 무인화 하려는 시도로 자동운전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고, 이에 따라 기존 전기기기와 시스템의 교체 추세는 계속될 것이다.
□ 최근엔 모터에 대한 수명 진단기술도 개발되어, 동선 주위의 절연수지의 사용 열화를 체크하여 판정함으로서 수명예측이 가능해지는 등 예방 보전을 위한 기술 발전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어서 전망을 밝게 해 주고 있다.
□ 더욱이, 국내에서도 주요제품의 수명주기관리(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 PLM) solution이 개발되어 전기전자와 자동차 분야 등 부품 뿐 아니라 시스템적으로 관리해 주는 전문 업체가 등장함으로서 예방보전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한편, 제조업자 측면에서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제품 수명주기 단축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제품의 효율적인 설계 생산에 나서고 있으나, 수요자 측면에서는 경제적인 내용연수를 산정하여 수명주기관리에 나서야 하고, 이에 따라 플랜트 설비시스템 전체에 대한 재배치와 재구축까지 포함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은 하수처리장의 전기설비에 대한 의견 제시로서 국내의 하수처리장을 포함한 플랜트의 전기기기에 공통되는 이해 관심사로서 도움을 주고 있다고 본다.
- 저자
- TERUNUMA ; INOUE ; YAMA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27(6)
- 잡지명
- 월간 하수도(B29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18~122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