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포저(Disposer)를 이용한 음식쓰레기 처리-북해도 우따노보리(Utanobori)구 에서의 적용예-
- 전문가 제언
-
□ 가정에서의 음식쓰레기는 부엌에서는 악취와 해충을 발생하고 집안에서는 생활환경이 악화되고 고령화와 주택의 고층화에 따라 쓰레기 반출이 성가시게 되는 등 발생쓰레기의 적정한 처리방법은 복지대책의 일환으로서 중요시 되고 있다.
□ 지금까지는 음식쓰레기는 주로 양돈용 사료나 유기질비료로 재생하였는데 도시화에 따른 수집의 어려움과 많은 염분에 의하여 리사이클 하는 데는 문제가 되어 왔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센터의 신설과 더불어 음식쓰레기의 새로운 처리방법의 구축이 필요하다.
□ 최근 신축주택에서는 디스포저의 설치가 많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디스포저를 이용하게 되면 집안에 음식쓰레기를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집 장소의 환경문제와 쓰레기 반출에 대한 노력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음식쓰레기가 그대로 하수도에 투입하게 되어 생활폐수의 질 변화와 오니의 증가 등 하수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도 있다.
□ 따라서 특정지역에서의 「디스포저도입의 사회실험」을 행하여 디스포저를 사용함에 따른 환경부하 및 사회경제적인 평가와 더불어 주민들에 대한 편의성과 편익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예로서 북해도의 우따노보리 지역을 대상으로 디스포저도입의 적용실험과 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 하였다.
- 저자
- NOGUCHI ; HUZI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29(12)
- 잡지명
- 월간폐기물(L24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24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