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의 기초 지식과 금후의 방향

전문가 제언
□ 현재 지구에는 새로운 에너지의 하나로 바이오매스가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식물의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유기성 자원이다. 석유나 석탄 등 화석 자원은 한도가 있으나 바이오매스는 태양과 물과 식물이 존재하는 한 지속적으로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우리 주변에 널리 존재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나 폐기물 처리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환경 부하가 적은 바이오매스를 유효하게 사용하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는 선진국의 온실효과 가스 배출량 삭감을 의무화한 교토의정서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제로로 카운트되었기 때문에, 온난화 대책의 강력한 무기로 기대되고 있는 자원이다.

□ 선진국은 바이오매스 이용에 있어서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바이오에너지 이용률은 아직은 낮은 수준이나 각국이 국가적 과제로 목료를 설정하고 이용을 추진하기 때문에 앞으로 그 비중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목표를 2006년까지 총 에너지의 2%를 달성할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특히 최근의 석유가격 상승으로 대체 에너지의 경제성이 개선될 것이므로 바이오매스 활용은 가속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본문은 일본의 바이오매스 현황을 외국과 비교하고 문제점 및 향후 전망을 설명하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화석자원과 달리 일정한 품질의 자원을 생산, 수송 및 소비할 수는 없으므로 각 지역 여건에 맞는 제품, 공정을 개발하여 단계적으로 육성해야 하며 동시에 제도적인 뒷받침이 요구된다는 내용이다.

□ 석유 등의 화석 자원은 거의 없어도 기후조건과 토지 등 여건이 조성되면 바이오매스는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 바이오매스를 최대한 유효하게 활용해야 한다.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나 제품으로 이용하는 기술 개발은 물론 아직은 경제성이 없는 바이오매스 이용 에너지나 제품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제도적 및 사회적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
저자
TOMAR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0(1)
잡지명
월간폐기물(L24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4~109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