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저장용 플라이휠(Tribology in New Energy System : Flywheel for Energy Storage System)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저장에 대하여 인류는 낙뢰 전기의 저장 아이디어 등 오래 전부터 많은 연구를 해오고 있어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양수발전소, 심야전력으로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압축공기를 저장하여 터빈을 구동시키는 방법, 2차전지를 이용 저장하는 방법, 운동에너지로서 플라이휠을 이용하는 기술 등의 결실을 보고 있다.
□ 이외에도 초전도 코일에 의한 전력 저장이 있고, 연료전지로서 전력을 저장하는 기술도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는데, 플라이휠을 구동시켜 전력을 저장하는 본문의 기술은 초전도 코일 저장방식보다 대용량화가 쉽고 가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 또, 대용량으로 상용화 된다면, 현재의 양수발전소 기능을 대체하게 되고 상용전력의 부하평준화가 이루어져서 효율이 높고 안정적인 전력 운용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우리 정부에서도 에너지효율사용 기술개발의 하나로 전력저장 기술을 개발 지원하고 있다.
□ 이에 따라 연구소 규모이지만, 우리나라도 플라이휠이용 에너지 저장에 성공한바 있는데,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공중에 회전체를 부양시켜서 300W를 저장하였고 1㎾이상으로 규모 확대 개발 중이다.
□ 그러나 본문의 지적과 같이, 재료의 개발과 함께 초전도를 포함한 특수 베어링 등의 개발이 불가결하므로, 관련 정밀공업계의 공동연구를 통한 개발 진행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Ryouichi TAKAHA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9(5)
- 잡지명
-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16~421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