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코제너레이션 시스템 엔지니어링에서의 유의사항

전문가 제언
□ 에너지의 97%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최근의 고유가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에너지절약에 대해 더욱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원가 경쟁력 측면에서도 각 기업들의 에너지 절감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 우리 정부에서도 에너지이용합리화법의 개정 등을 통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환경조성과 자금지원으로 계도하고 있으나, 근년에 다소 집단에너지 열병합의 도입이 주춤하고 있는데 이는 원전에 의한 저렴한 전기단가 등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 그러나, 최근 환경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대안으로 열 병합시스템이 부상되고 있는데, 본문과 같이 이의 도입 시에도 전문가의 지원아래 많은 사전 검토가 있어야 한다.

□ 본문에 나오는 일본의 mono generation은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단가가 저렴하여 그러한 사례가 없으나, 80년대에 도입된바 있는 소규모 CES는 발생된 폐열을 적절하게 활용치 못하고 있어 지금껏 문제가 되고 있다.

□ 또, 최근 유행되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소규모 열 병합발전시스템도 초기에는 성과가 있으나, 역시 하절기의 잉여 열량 소모 방법이 마땅치 않고 전문 관리가 필요한 점, 국산화 미흡으로 초기 투자비 과다 등 아직 도입 시 해결과제가 많다고 본다.

□ 수요자에 따라서는 열 병합시스템이 완벽한 최선이 아닐 수도 있으므로, 열 병합 도입 시에는 전문가의 조언 아래 충분한 검토가 전제되어야 경제성과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저자
MURAKA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56(4증간)
잡지명
Energy conservation(A070)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9~83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