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제너레이션에 의한 에너지의 유효 이용과 그 평가
- 전문가 제언
-
□ 열병합발전(CGS)의 변천과정과 이의 활용을 위한 법규제정에 대해 언급되어 있으며 에너지의 유효이용에 있어서의 인간의 한계와 이의 최대이용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였다.
□ CGS의 에너지 절약성 평가에 있어서 에너지의 이용가치에 대한 차이점을 설명하였다. 즉 열과 전기의 가치에 대한 등가 환산, 같은 열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온도에 따른 이용가치를 언급하였으며,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 대체 에너지시스템의 적정선택이 에너지 절약성 평가기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 CGS의 환경성 평가를 위하여 CO2배출계수의 영향과 선택방법에 대한 언급이 있고, 국제연합기후변동회의에서의 CDM, 영국의 CHP품질보증프로그램, 네덜란드의 JI가이드라인 및 미국의 LBNL 보고서의 차이점 설명.
□ 최근 에너지의 규제완화, 네트워크시대 및 재생가능에너지시대를 맞아 CGS의 새로운 역활이 기대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배경과 역할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CGS의 새로운 역할로서 ① 피크대응과 비상용전원등의 신뢰도 확보 ② 계통운영에의 공헌 ③ 품질별 전기공급 및 ④ 마이크로그리드의 도입에 대한 설명이 있다.
- 저자
- OK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56(4증간)
- 잡지명
- Energy conservation(A07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10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