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마의 의 · 약학적 응용(Application of Plasma Chemistry to Drug Engineering)
- 전문가 제언
-
□ 시대에 부합하는 DDS 개발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보다 고차원적인 기능성 고분자의 개발과 고분자 소재 가공의 기술 혁신이 요구된다.
□ 최근에 와서 급속한 게놈 연구의 진전에 따라, 유전자의 개인차에 기초하여, 치료 방침과 약의 처방 내용을 결정하는 ‘텔레메이드 의료’의 실현을 향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 DDS의 최종 목표는 ‘약물치료의 최적화’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플라스마 조사에 의한 약물 방출 제어가 외층 고분자와 플라스마 처리조건의 선택에 따라 쉽사리 가능하다는 것을 이용해서, 개개의 환자에게 최적한 DDS제제를 제공하는 ‘텔레메이드형 DDS’의 개발이 진척되어야 한다.
□ 의사는 위장 관내 모니터링 칩을 사용한 환자의 소화흡수관 내 환경의 파악을 포함한 진단을 행하여, 그 처방에 따라 약제사가 제제에 플라스마를 조사함으로써, 각 환자에게 최적한 약물 방출 제어 기능이 부여된 DDS제제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플라스마 가공 기술을 사용한 DDS 제조 실용화를 목표로, 양산을 위한 플라스마 처리장치의 개발 등을 포함하는 산 · 학 공동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Masayuki KUZU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28(2)
- 잡지명
- 정전기학회지(A5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1~107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