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초발수성표면(Super Water-Repellent Surface Formed by Nano-Composites)
- 전문가 제언
-
□ 발수 처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내구성, 내세탁성 문제이다. 초 발수 표면 처리된 소재의 용도로는 물이 침투하지 않는 의류용, 우산이나 자동차의 유리 처리와 같은 습윤 방지용,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의 지붕, 전선 그리고 안테나에 처리하는 적설 방지용, 그리고 자동차나 항공기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창의 서리 방지용 등 많은 응용분야가 기대 되고 있으나 아직도 만족할 만한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 일반적인 초발수성 표면 가공법은 우선 표면에 요철을 나노미터 단위로 만드는 방법에 관한 연구와 또 이렇게 만든 표면에 발수성 고분자로 가공하여 접촉각을 높이는 방법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CTS/실리카 나노 복합체를 사용하는 초발수성 표면 가공법은 일반적인 이단계법에 비하여 간편한 방법이다. 특히 CTS 성분으로 메타크릴산이 공중합 되어 있어 표면이 오염되거나 발수 성능이 저하 하는 경우에는 알칼리로 세척함으로 간단하게 탈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특히 앞으로는 내구성, 발수성능, 투명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며 그로 인한 응용 분야가 더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 저자
- Masaki KIMOTO ; Hideo NISHIDA ; Kunio ARIMOTO ; Yoshiyuki IKE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0(5)
- 잡지명
- 일본접착학회지(J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15~219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