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재료의 최신 동향 : 생분해성 플라스틱 (그린프라)
- 전문가 제언
-
□ 토양 중에서 서서히 분해되어 일정기간 후에는 형태도 없이 사라지며 최종적으로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물과 탄산가스가 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거나 새로운 제품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생 분해 플라스틱 대부분은 전분 등 석유 이외의 원료로 제조되므로 소각하여도 연소 칼로리는 일반 플라스틱보다 아주 낮고 이산화탄소 발생 등의 환경부하도 아주 낮다.
□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크게 분류하면 미생물계, 화학합성계 및 천연물질계의 세 유형이 있으며, 경질계의 폴리젖산(PLA) 및 연질계의 폴리부틸숙시네이트(PBS)와 폴리카프로락톤 등이 주력 상품으로 시장이 개척되고 있다.
□ 본문은 일본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산 품종, 생산 규모 및 제조업체, 최근의 기술 동향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 보급을 위한 정부 및 민간 주도의 각종 행정적인 움직임을 포괄적으로 종합 보고한 것으로 일본의 현황 파악에 적절한 보고서로 사료된다.
□ 일본에서는 2010년까지 그린 플라스틱의 시장 규모를 전체 플라스틱 제품의 10% 정도로 예측하고 있으나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범용 플라스틱에 비해 비싼 가격문제와 재료가 한정됨에 따른 제품 물성에 한계가 있다는 점 그리고 여러 가지 장려제도 조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경제적 자립이 어려움 점 등이다.
□ 그린 플라스틱의 보급 확산은 수출포장의 필수적인 요건이 되는 등 전 세계적인 추세임으로 정부나 관계 기관의 정책적인 지원은 물론 가격면의 경쟁력 확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재료의 다양성 확보에 가일층의 노력이 요망된다. 범용 플라스틱의 2배 정도의 가격이 적정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므로 이 수준의 가격 확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과 동시에 생산용량 증대를 통한 제조원가 절감이 한 방법이 될 것이다.
- 저자
- Takamatsu Tsutom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19(12)
- 잡지명
- 플라스틱 성형기술(C13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21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