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조벤젠을 함유한 고분자계에서의 광기계적 영향(Photomechanical Effects in Azobenzene-Containing Polymer Systems)

전문가 제언
□ 기계적인 효과를 생산하는 기존의 산업분야에서는 지금까지 빛을 이용하는 물질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본문의 주제가 다소 생소하게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이 분야의 연구는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이 매우 크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의 연구가 빠르고 원거리 조절이 용이한 빛의 특성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 현재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유기 EL, 감광성 물질과 같은 광분자성 고분자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빛에 관련된 물질의 연구가 기계적인 물성을 가지는 연구까지 확장되어서 물질의 변형이나 휘어짐에 대해서 보다 명확한 특성을 산업적인 분야까지 연결시킨다면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기계적인 기구들의 조작매체가 빛으로 대체될 수도 있겠다. 또한 나아가서는 의학용 나노사이즈 로봇과 같은 차세대 기술의 도래도 앞당길 것이다.

□ 본문 내용에 따르면 미시적인 관점이나 액정 상에서의 연구에서는 실용적인 결과들을 얻고 있지만 고체 박막의 경우, 아조벤젠을 함유한 고분자계의 광기계적인 효과는 매우 미미하다. 지속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폴리도메인 액정 상에서의 연구 결과를 최대한 이끌어 내는 한편 고체 박막에서도 기계적인 물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야겠다.

□ 휘는 현상이 일정 두께 이상에서는 관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거시적인 광유도 변형은 갖기 힘들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미시적인 변형의 축적을 통해 일상용품에서의 광기계적 효과를 기대해본다.
저자
Yanlei Yu ; Makoto Nakano ; Tomiki Ike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2(5)
잡지명
유기합성화학협회지(A011)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71~479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