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용 블렌드에 의한 플라스틱 표면의 기능화 : 내구성 대전방지 기능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틱 성형품의 대전 방지법에는 내부혼입법과 외부도포법이 있다. 내부 혼입법에 쓰이는 대전방지제는 모두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이들을 식품이나 화장품 용기로 사용 시에는 저분자량이기 때문에 내용물에 용출되는 문제가 있어서 glycerine monostearate같은 무독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쓰나 이온성이 아니므로 대전성의 성능에 문제가 있으며 표면에서 접촉, 마찰 등으로 계속 감소할 수 있다. 과량으로 쓸 때는 가소제의 기능을 할 수도 있어서 플라스틱 성형품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 마크로아조계 개시제를 써서 매트릭스 수지와 같은 모노머, 친수성 모노머, 소수성 모노머를 삼원블록공중합하면 매트릭스 수지와 같은 블록은 매트릭스 수지에 대하여 앵커 역할을 하고 친수성 블록은 표면에 배향하여 대기 중 습기를 흡착하여 표면 대전압을 저하시키며, 소수성 블록은 표면의 습기 흡착을 적절하게 억제하여 먼지가 붙는 뚜렷한 수분 흡착층의 형성을, 저지하여 균형을 취한 대전 방지층이 된다. 특히 친수성 모노머를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를 써서 이것이 함유된 블록공중합체를 염산으로 처리하여 4급 암모늄화 한 것은 대전방지성이 뛰어난 성형용 플라스틱이 된다.
□ 본 대전 방지제는 플라스틱 표면에서 제거되지 않으므로 내구성 대전방지제가 되며 대전방지제 메이커, 플라스틱 성형업체에서 본 블록공중합체형 대전방지제를 검토할만한 가치가 있다.
- 저자
- UE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8(4)
- 잡지명
- 접착(A04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2~177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