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와 약물대사 (Drug metabolism and ageing)
- 전문가 제언
-
□ 노인들은 젊은 사람에 비하여 약물치료에 위험이 따른다. 그 이유는 노년까지의 다제요법에 따른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나이에 따른 약동력학 및 약역학의 변화, 체내 장기의 여유 기능손실, 동적 평형의 장애, 약물에 대한 원활치 못한 순응력, 노년기까지 처방 없는 약제의 과다 복용(노인들은 젊은 사람에 비해 부작용 결과가 있을 수 있다) 등이며 치료약효 범위가 좁은 약제, 즉 강심제 글리코시드, 항경련성 약제 등은 조심하여 사용할 것을 요한다.
□ 나이가 들면 약물을 대사 하는 간의 능력이 떨어진다. 그리하여 간의 혈액 흐름이 감소하여 심장미비와 같은 질병에는 위험하다. 간에 의한 약물 대사는 2과정에 의존하는데 첫째는 혈액 순환이고 둘째는 대사효소의 활동이다. 노년에는 간으로 흐르는 혈액이 감소하므로 적은 량의 약물이 간으로 들어가 불활성 물질로 대사된다. 간 효소는 약물을 주요 두 가지 phase로 대사하는데 노인에 있어서는 이 두 가지가 다 원활하지 못하다. 그 중 phase I 반응(산화, 환원, 약물분자의 대사)이 phase II 반응(약물과 이 대사물이 산과 결합되어 불활성 화합물을 형성하는)보다 더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노년기에는 약물이 phase I이나 phase II에서 대사되느냐 혹은 둘 다에서 대사되느냐에 따라 다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나이와 관련된 생리작용변화는 특정약물이나 약물종류들의 약 동력학을 바꿀 수 있어 부작용이나 약물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간과 신장의 혈액흐름이 감소함으로써 간에서의 효소작용 감소, 신장의 사구체 거르기의 장애 등이 약물 프로세싱과 제거 효과를 감소시켜 약물의 혈청농도증가와 반감기를 연장한다. 이러한 약 동력학의 변화는 여러 약물을 복용하는(노인들은 여러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 저자
- Kinirons, MT; OMahony, M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7(5)
- 잡지명
-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40~544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