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백신에 대한 희망적 기대(Opinion - The promise of cancer vaccines)
- 전문가 제언
-
□ 임상적 관찰을 통해 면역계가 종양을 인지하고 그에 대하여 반응할 것이라는 인식이 19세기 후반에 형성된 이래, 인간을 위한 암 백신 개발에 대하여 초기의 흥분 단계에 이어 전적인 환멸의 단계를 거쳐 다시 힘을 받아가고 있는 현 단계까지 이르게 되었다.
□ 면역학계가 지난 10년간 겪어 온 개념적 혁명의 핵심에는, 면역계의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 식별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전문 항원제시세포(professional antigen processing cells) 네트워크가 면역과 면역관용(tolerance)의 주된 조정자 역할을 한다는 것에 대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고의 변화는 암과 면역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면역학의 최신 진전에 따라, 초기의 관찰과 오늘날의 인식, 이 두 가지가 전혀 모순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새로운 백신접종(vaccination) 전략의 뚜렷한 항종양 효과를 보여주는 많은 실험적 증거들이 우리가 현재 올바른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고 있다.
□ 효과적인 암 백신 개발을 계획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강력한 종양 거부 항원(tumour-rejection antigen)을 어떻게 동정(identify)하는가, 효과적인 항종양 면역반응을 어떻게 자극하는가, 자가 면역 병리학적 증상(autoimmune pathology)을 어떻게 피하는가, 면역 회피(immune evasion)를 어떻게 예방하는 가 등이다.
□ 본 종설에서는, 암 백신의 원리가 이치에 맞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어떻게 하면 현 시점에서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여 암 백신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하여 중요한 견해와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Gilboa, 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5)
- 잡지명
- NATURE REVIEWS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01~411
- 분석자
- 오*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