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전해질 분리막(Polyelectrolyte membranes)
- 전문가 제언
-
□ 분리막은 에너지 절약 공정으로 미래 환경 친화적 분리 공정으로 알려져 있어, 분리막 소재 및 제조에 많은 관심을 받는 분야이다. 본 자료는 전하를 띄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을 분리막으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 전하를 갖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해 분리막을 만드는 방법은 수용액에서 액상형태의 분리막인 free-standing 분리막 제조 방법과, 전하를 띄고 있는 특성을 이용해,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해서 제조하는 layer-by-layer 조합 방법으로 기질 위에 다층박막을 집적시키는 방법이 있다.
□ 같은 조성을 갖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이지만, 그 구조가 다르거나, 분자량, 고분자 전해질이 갖고 있는 전하 밀도 등에 따라 매우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되고, 이를 이용해 제조된 분리막도 다른 특성을 갖는다. 한편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해 분리막을 제조하는 데 있어, 사용한 용액의 pH, 온도, 이온 세기, 그리고 막 제조 후의 annealing 공정 등도 궁극적으로 얻어지는 복합막의 구조 및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분리 선택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 고분자 전해질을 기공을 갖고 있는 고분자 지지체 위에 layer-by-layer 방법으로 집적시켜 얻은 복합막은 분리가 어려운 물과 에탄올계 혼합물을 분리하는 pervaporation 분리막으로 그 성능이 매우 높아 응용가능성이 높다. 그 이외에도 이온 분리막, 센서, 고분자 전해질 capsule을 사용한 약 전달 시스템, electrodialysis, ultrafiltration과 microfiltration등의 응용이 가능하고, chiral compound를 사용하는 경우, 라세믹 혼합물을 분리하는 데에도 응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von Klitzing, R; Tieke, B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165
- 잡지명
- POLYELECTROLYTES WITH DEFINED MOLECULAR ARCHITECTURE I; SE ADVANCE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7~210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