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에서 지질과 폴리엠포라이트 단층막의 고분자 전해질 상호작용 및 구조연구(Lipid and polyampholyte monolayers to study polyelectrolyte interactions and structure at interfaces)
- 전문가 제언
-
□ 이 글에서는 계면에서의 고분자 전해질의 정전기적 또는 입체적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지질과 폴리엠포라이트(polyampbolote)를 이용해 측정한 계면에서의 거동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기본적인 실험시스템은 공기와 물의 계면사이에서 형성되는 Langmuir 단층막(monolayer)을 형성하여 측정하였다. Langmuir 단층막 실험을 통하여 흡착공정에 관한 열역학적 또는 동역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선택한 계는 물에 녹아있는 고분자 단층막 위에 흡착된 고분자의 계면현상에 대한 연구로써, 여러 종류의 다른 조성 및 전하밀도를 가진 친수성 단층막을 모델로 한 연구를 주로 다루고 있다.
□ 계면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장치는 주로 광학현미경, X-ray 회절 및 반사특성을 이용한 기기 및 원자척력현미경(AF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특히 AFM은 고체표면에 흡착된 물질을 매우 높은 정밀도로 관찰이 가능하고, pH에 따라 전하밀도가 달라지는 폴리엠포라이트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 Langmuir 단층막에서 일어나는 지질이나 폴리엠포라이트의 특성은 주위 환경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바뀐다. 이러한 특성은 센서에 잘 응용될 것으로 보인다. 사회가 발전하면서 의학이나 환경문제 등 여러 종류의 센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므로, 산업에의 응용 가능성도 매우 높은 분야로 판단된다.
□ 계면에서 고분자 전해질의 상호작용은 계면 동역학과 마이크로 상분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Langmuir 단층막 및 물 위의 단층막 고분자의 거동에 대한 이해와 그 응용성을 깊이있게 연구해야 될 것이다.
- 저자
- Mohwald, H; Menzel, H; Helm, CA; Stamm,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165
- 잡지명
- POLYELECTROLYTES WITH DEFINED MOLECULAR ARCHITECTURE I; SE ADVANCE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1~175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