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새로운 고분자 전해질의 구조(New polyelectrolyte architectures)

전문가 제언
□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사슬에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의 전하를 갖고 있는 물질이다. 갖고 있는 전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갖고 있다. 전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수용액속에서 이온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온 특성과 아울러 고분자 사슬의 형태도 바뀌는 복잡한 형태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 새로운 고분자 전해질을 설계 합성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전해질과 구조, 이온 종류 등에 따른 상관관계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분자 전해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과 아울러 합성 방법, 여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블록 공중합체 합성 방법 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 고분자 전해질이 수용액 중에서 일어나는 특징은 크게 이온에 의해 일어나는 특성과 고분자 사슬의 움직임에 의해 일어나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 특성만을 보기 위한 방법으로 사슬이 rigid해서 수용액상에서 구조가 변하지 않는 막대 모양의 고분자 전해질로 poly(p-phenylene)(PPP)계 유도체를 합성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PPP는 방향족 링이 para위치로 연결이 되어 있어 막대모양의 rigid한 구조를 하고 있다.

□ 오래전부터 알려지긴 하였으나, 많이 연구되지 못한 양이온 전하를 갖고 있는 polycation 고분자 전해질과 polycarbobetaine에 대한 고찰과 아울러 합성 방법 및 그 특성에 대한 분석을 정리하였다.

□ 고분자 전해질의 특징을 확장하기 위해, 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을 한 블록으로 하고, 다른 블록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불록을 도입한 불록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기초적인 합성 반응 및 그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아는 것이 궁극적으로 이런 고분자 전해질을 응용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 선형 고분자 전해질과 같은 조성이면서 형태가 star 모양이나, 가지가 많은 hyperbranched 고분자 전해질의 경우, 선형고분자 전해질과 아주 다른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특성들을 이용하여 응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는 에멀션이나 dispersion 공정에 있어 안정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Bohrisch, J; Eisenbach, CD; Jaeger, W; Mori, H; Muller, AHE; Rehahn, M; Schaller, C; Traser, S; Wittmeyer, P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165
잡지명
POLYELECTROLYTES WITH DEFINED MOLECULAR ARCHITECTURE I; SE ADVANCES IN POLYM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1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