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람과 쥐의 배아줄기세포 차이(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mouse embryonic stem cells)

전문가 제언
□ 최근에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와 조직 재생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배아줄기세포의 가능성이 알려지면서 손상된 장기를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대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까지 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배아줄기 세포연구는 배를 파괴하고 또 다른 인간의 복재 가능성 같은 윤리적인 문제와 연관되어 있어 많은 연구가 다른 동물, 그 중에도 쥐를 이용하여 연구되고 있다. 쥐의 배아줄기세포는 1981년에 배반포에서 세포덩어리를 배양하는데서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사람의 경우는 1998년에 불임치료에 이용된 배에서 분리 배양에 성공하였으며 지금 까지 60여 세포주가 미국 NIH에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중에도 충분한 자료를 갖고 분석할 수 있는 사람의 세포주 수는 10개 미만이다.

□ 배아줄기세포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면역세포 화학적인 방법이나 RT-PCR, 또는 cDNA Array 등으로 분석해 보면 상당한 유전자의 발현 과정이 분화하기 전의 세포에서 분화된 세포로 연계하여 식별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식별 가능한 마카로는 SSEA항원, OCT3/4, SOX-2, REX-1, TERT, UTF-1, TRF1, TRF2, Connexin43, 그리고 Connexin45, FGFR-4, ABCG-2 와 Glut-1등이 있다. 이러한 마커는 대체로 사람과 쥐의 배아줄기세포에서 발현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반면에 Vimentin, h-III Tubulin, Alpha-Fetoprotein, Eomesodermin, HEB, ARNT, 그리고 FoxD3, LIF Receptor Complex LIFR/IL6ST (gp130)등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국내에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사람의 배아줄기세포를 쥐에 이식하여 인간과 쥐의 유전자가 섞인 쥐를 생산하는 기술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사람과 쥐의 배아줄기세포는 비슷한 점도 많으나 뚜렷하게 다르다는 점도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배양이나 세포주에 따른 것이 아니고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점이며 동물의 연구결과를 사람에게 적용할 때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저자
Ginis, I; Luo, YQ; Miura, T; Thies, S; Brandenberger, R; Gerecht-Nir, S; Amit, M; Hoke, A; Carpenter, MK; Itskovitz-Eldor, J; Rao, M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269(2)
잡지명
DEVELOPMENTA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60~380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