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과 미국의 태양광발전산업의 현황과 전망(Power from the Sun)

전문가 제언
□ 미국 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Chemical & Engineering News 지는 최신호(2004년 6월 21일)의 표지기사로서 태양광발전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보도하였다. 이 기사에서는 현재 태양광발전분야에서 기술, 생산량 및 시장 점유율에서 부동의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일본이 어떻게 현재의 위치에 이르렀는가를 분석하고 향후 일본정부와 기업들의 야심 찬 계획을 소개하였다.

□ 또한 태양광발전과 관련해서 한때 세계 최고의 기술과 생산량을 기록했던 미국이 여러 정권을 거치면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한 결과로 선두 자리에서 밀려난 과정을 소개한 후 미국이 향후 취해야할 조치나 정책들을 전문가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 태양광발전이 실용화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래 일본, 독일 등은 이의 연구와 보급을 적극 장려하여 태양광발전산업이 매년 30%이상 성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태양광발전 생산 단가가 발전소에서 생산하는 발전 단가보다 저렴해져서 정부의 보조금 없이도 태양광발전설비의 생산이 매년 25%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이와 같은 일본의 성공사례는 부존에너지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모델로 삼아서 정부의 정책에 적극 반영해야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우리정부도 최근 수소연료전지/태양광 및 풍력 등 3대 분야에 5년간 총 2,500억 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단일 사업으로는 정부의 최대규모의 R&D 투자로서 이 사업단의 연구 결과가 대단히 주목된다.

□ 태양광발전은 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기보다 아직은 생산비가 대단히 높다. 특히 미국의 경우 기존의 화석연료발전이 월등히 싸기 때문에 태양광발전산업이 크게 각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원인 중에 하나고 되고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과 같은 핵심소자들을 얼마나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가와 거시적이고도 장기적으로는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비용이 얼마에 이르느냐가 결국은 태양광발전산업의 앞날을 결정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
Jeff Johnson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82(25)
잡지명
Chemical & engineering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5~28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