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용 엔진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신뢰성 기반의 선급기준 적용
- 전문가 제언
-
□ 신뢰성이란 제품의 제반특성을 유지하면서 제품을 얼마나 오래 쓸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간적 요인이 중대한 내용으로 되어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공업선진국을 중심으로 항공기와 잠수함과 같이 고도의 생산 및 유지관리기술이 필요한 제품을 중심으로 신뢰성 평가 해석 및 응용기술이 발달하여 왔다.
□ 한편 선진 조선공업국에 있어서 선박용 엔진에 대한 선급 기준 적용은 1990년대 중반부터 신뢰성기반을 이용한 선급기준이 점진적으로 확산되어 왔으며, 최근 이와 같은 선급기준 적용기술이 크게 선호되고 있다.
□ 그러나 현재 국내외에서 적용되는 규범적 선급규칙은 선급규정에서 상정된 고장형식에서 일어나는 선박의 고장 및 손상이 적고 이와는 다르게 선급규칙과 관련된 규정이 아닌 것으로부터 중대한사고가 일어나는 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한편 선박의 선급결정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선주들은 신뢰성 기반을 크게 의식하지 않고 선박보험회사들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선급을 정하는 경향이 많은 점을 감안할 때 선주들에게 선급기준의 신뢰성 평가시스템 도입운영에 따른 장점을 크게 부각시켜나가도록 함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국내의 경우 선박엔진시스템에 대한 신뢰성기반 선급기준 적용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적용가능부분을 중심으로 신뢰성기반 선급기준적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이와 같이 현재 적용되는 규범적 선급규칙의 미비점을 극복하고 단계적으로 선박엔진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신뢰성 기반의 선급기준 도입 및 적용에 의하여 국내 선박설계 및 제조와 유지관리기술의 개발촉진에 의해 조선공업의 국제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향상 발전될 수 있도록 관련업계의 노력과 함께 정부 및 관련기관의 업무협조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Tamashike Sou, Senichi Sas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878)
- 잡지명
- 일본조선학회지(C1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205~211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