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 탄성 유체 윤활의 현상(Trends of the Theory and Application about EHL(Elastohydrodynamic Lubrication) : EHL Films under Non-Steady State Condition)
- 전문가 제언
-
□ 기계요소의 구동에서 윤활은 아주 중요하며, 이의 정확한 해석을 위하여 각계에서 부단히 연구 노력하고 있다. 특히 비정상 상태의 탄성 유체 윤활의 해석은 아주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 고에서는 비정상 상태 하에서의 탄성 유체 윤활막 거동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고,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탄성 유체 윤활 조건 하에서 작동하는 기계요소에서는 실제의 운동 조건들이 시간과 함께 변동하는 것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건은 주로 표면 조도와 속도 변동 그리고 급격한 하중의 변동 등에 따라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 따른 실험을 바탕으로 실제 운동 조건에 적용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한 이론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 본 자료에서는 기계 작동 표면의 조도와 속도 변동 하중 조건에 따른 이론의 근거와 실험치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유체 윤활에 있어서 기포의 발생은 행정 길이와 왕복 주기에 따라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기포의 발생은 막 두께의 감소와 같이 윤활에 있어서 각종 악영향을 미치므로 해결하여야 하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그리고 각종 비정상 탄성 유체 윤활 기술에 대한 실험방법 및 실험 데이터 등이 소개되어 있어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저자
- Hiroshi NISHI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9(4)
- 잡지명
-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88~294
- 분석자
- 하*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