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 베어링의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아주 큰 하중의 회전체를 받치는 경우 저널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면 접촉으로 인한 동력손실이 많으며 여기에 적합한 극압 윤활제를 사용하는 문제와 윤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면접촉에서 선접촉, 점접촉으로 이행하는 가운데 원통형 베어링 볼베어링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마찰계수의 감소로 동력손실이 많이 감소하게 되었고 고속, 저소음, 저 진동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고정밀도 가공, 윤활제와 윤활방법이 연구되고 있고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 보다 단단한 재질로 바뀌어 가고 있다. 즉 강합금에서 비철재인 세라믹 재질로 대체 되는 경우가 정밀분야에 현저하게 많아지고 있다.
□ 최근에는 친환경 대책이 강력하게 요청되고 있기 때문에 극압제의 첨가물의 선택이나 윤활유의 폐기방법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 복잡한 기계장치에 내장된 각종 베어링의 내구성을 높이고 정밀도유지를 위한 무선센서를 내장하여 정밀도관계 및 윤활관계를 확인하는 새로운 방식이 개발되고 있지만 절대수명이 있는 이상 적당한 시기에 점검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요구하는 기능수행에 문제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 저자
- S. Nogu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8(4)
- 잡지명
- 기계설계(A0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6~57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