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동벨트의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는 종래로부터 많이 사용된 두개의 풀리 축간 거리(통상으로 거리가 긴 경우)를 일정하게 고정하고, 여기에 평 벨트 혹은 V-형의 벨트를 걸어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 있으며, 또 축간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기어를 이용하지만, 축간 거리가 멀고 큰 동력을 전달할 경우에는 체인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단순히 축 간의 동력전달에는 속도비의 문제는 요구되지 않지만, 정확한 속도와 힘의 전달 및 이들의 제어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 요구가 따르게 마련이다.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최근 다양한 전동벨트가 개발되어 선보이고 있다. 이들 중에서 전동벨트의 특징을 가장 잘 이용하고 있는 전동장치가 V-벨트식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무단변속기)이다. CVT는 2개의 풀리(pulley), 즉 구동풀리(驅動車; drive pulley)와 종동풀리(從動車; driven pulley)에 의해 벨트의 감아 돌리는 속도를 임의로, 또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CVT를 자동차에 채용하여 속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충격이 없는 쾌적한 운전환경을 실현하고 있다.
□ CVT에는 벨트식과 동력전달 시 장력 때문에 발생하는 벨트의 늘어짐과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새롭게 고안된 텐셔너(tensioner)를 채용한 텐셔너 방식이 있다. 텐셔너 방식의 CVT에서는 벨트 이완 측의 스팬위에 텐셔너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텐션을 부가한다. 이 방식의 CVT에서는 종래방식에 비하여 변속속도가 향상되었다. 여기서는 CVT를 둘러싼 새로운 기술 동향의 하나인 텐셔너 방식 CVT의 기본원리 해설과 동력전달장치에의 벨트를 이용한 시스템 개발현황을 소개하였다.
□ 벨트를 이용한 동력전달시스템의 개발사례로 프린터 화질 향상을 위한 캐리지 구동용 타이밍 벨트의 개발, 로버스트(robust) 설계에 의한 벨트 치의 부드러운 이 물림(gearing)의 ASA(As Smooth As possible) 시스템의 개발, 벨트의 굽힘 변형 손실을 막기 위해 벨트의 원 둘레 방향으로 V-홈을 두는 방식을 채용함으로 벨트의 손실저감을 가능하게 한 사례 등이 소개된 자료로 동력전달 메커니즘의 설계 관계자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 저자
- Tooru FUJII, Kazuya OOKUBO, Hiroyuki NISIO, Mitsukiko TAKAH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8(4)
- 잡지명
- 기계설계(A0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8~66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