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 포지셔너를 활용한 밸브 진단시스템

전문가 제언
□ 석유화학, 철강 등 산업계는 물론이고 최근에는 발전소에까지 경쟁체제가 도입되면서 원가 경쟁력의 확보는 기업의 사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장설비의 유지관리 비용절감이 현실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 유지관리는 각 공장의 프로세스의 특성이나 개별 조건마다 다르나, 정기점검 주기를 플랜트의 안정적인 조업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되도록 연장시키는, 이른바 TBM에서 CBM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 현재는 산전 메이커를 중심으로 폐수처리, 상수처리, 발전소의 데이터 로긴 시스템, 화학공정의 DCS 등 프로세스 솔루션을 공급하면서, DCS와 PLC 위주의 디지털식 전자제어기기 시스템이 보급 활용되어 왔고, 유지관리 용도로는 일부 관로와 밸브, 분기점 등의 관로 정보관리 소프트웨어 등이 공급되고 있으나, 현장의 밸브 등에는 구동 액추에이터와 인디케이터로 온, 오프 확인만 가능한 것이 대부분이다.

□ 또한, 제어 밸브 자체에 트러블이 발생하면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친 후의 사후적인지만 가능할 뿐으로 사전적인 예방 점검이 안 되고 있어서, 막대한 보수비용의 발생이 불가피해진다.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과 같이 제어 밸브에 대한 진단시스템은 유지관리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며, 이미 훌륭한 IT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밸브 메이커가 스마트 포지셔너 만을 밸브에 장착토록 하고 나머지 시스템과 솔루션은 충분히 국산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도입 활용을 권하고 싶다.
저자
Minoru Huku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7(5)
잡지명
계장(A025)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1~65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