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복안광학계에 의한 화상입력 시스템

전문가 제언
□ 카메라 폰과 PDA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이용이 급증하면서 모바일 문화로까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촬상소자의 기술개발로 소형화 고성능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 이미지 저장장치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CCD는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나 고성능을 위해선 고 정밀도의 제조기술이 필요하다. 지금은 일본이 세계시장을 장악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데, 디지털 카메라, 스캐너 등 광학용은 물론이고 은하성단 등 우주 천문 관측용으로도 사용되는 등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 이후 CMOS 이미지 센서도 개발되어 고 전력이 필요한 CCD 대신 저 전력이라는 강점으로 인하여 고화질을 요구하지 않는 분야에서 활용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기술 벤처기업이 국산화 개발을 완료하여 수출에까지 나서고 있어 장래 희망이 밝다고 본다.

□ 화상입력 시스템 분야에서도 고난도의 알고리즘 인식 기술인 AFIS가 개발되어, 우리나라를 포함한 4개국만 기술을 보유한 가운데 지문인식이나 인감인식 등에 활용되어 수출에 성공하는 등 개가를 올리고 있다.

□ 본문의 사례에서 보듯이 더 작고 더 얇은 추세를 요구하는 광학계의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제 이미지 센서와 화상신호처리를 위한 화상입력시스템의 각 부분에서 올린 기술적 기반을 토대로 디지털 광학분야에서 대등한 위치에 서도록 산/관/학의 유기적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다.

□ 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기초기술이 풍부한 러시아 연구 인력과 우리의 우수한 생산 제조기술을 합친다면, 원천기술의 유출을 꺼리는 선진국의 기술 장벽을 넘을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이미 많은 협력 사례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저자
Jun Tanida ; Koichi Nit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56(4)
잡지명
기계연구(A062)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33~438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