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용 금속재료 개발평가의 현상과 장래전략(Curr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etallic Biomaterials and Its Strategy)

전문가 제언
□ 생체조직의 상실된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재료를 통틀어 생체재료라 부른다. 21세기 이후에는 교통사고나 재해에 의한 부상자뿐만 아니라 인간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자의 증가로 장기간 안전하게 생체이식이 가능한 재료의 개발이 중요하다. 시장규모가 큰 생체 이 식물로는 인공뼈, 골 판(plate), 인공관절, 인공 치아 등이 있다.

□ 생체용 금속재료로는 정형외과를 중심으로 한 사용비율로 볼 때 예전에는 스테인리스강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거의 코발트 합금, 순수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과 생체적합성은 떨어지지만 가공성이 우수하고, 코발트 합금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티타늄 합금은 내식성과 생체적합성은 우수하지만 내마모성이 떨어진다는 장단점이 있다.

□ 인공고관절은 뼈와의 고정방법에 따라 무 시멘트형과 시멘트형으로 나누어지는데, 무 시멘트형은 주로 Ti-6Al-4V ELI 합금이 사용되고 시멘트형은 Co-Cr-Mo 합금이 사용되고 있다.

□ 인공고관절 부품의 제조에 필요한 원소재 기술과 주단조 등의 성형기술, 다공정 코팅기술 등은 선진공업국에서는 이미 안정기에 있는 기술이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기술의 연구개발이 미흡할뿐더러 업체의 생산 경험도 전무하여 매우 높은 가격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최근 국내에서도 무 시멘트형 인공고관절 부품에의 비드(Bead) 코팅공정 조건을 확립하고, Bead+HA 복합형 코팅기술도 개발하였으며, 시멘트형 인공고관절 국산화 개발연구도 병행하여 Co-Cr-Mo 합금의 용해 및 정밀주조에 의한 부품 제조공정을 확립하였다.
저자
Takao Han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3(3)
잡지명
Bulletin of the Japan institute of metals(N10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6~181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