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운데이션의 기능과 과학(Science and Functions of Make-up Foundation)

전문가 제언
□ 특히 파운데이션 분야는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순백하게 바르기의 화장 문화에서 화장의 장기지속성(long lasting성), 자외선 차폐성, 빛의 강도에 따라서 색조가 변화는 연색성(演色性) 등 기능중시의 시대를 거쳐, 최근의 개발 추세는 투명감, 맨살감을 높여, 활발한 주름살, 기미, 모공 등 피부의 결점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 아름다운 화장 마무리”에 대한 욕구에 있다. 따라서 빛의 확산, 굴절, 투과라고 하는 여러 가지 광학특성의 중요성이 증가하여, 특수한 광학특성을 발휘하는 원료에 주목이 집중됨.

□ 그래서 최근의 추세는 “ 화장 마무리의 아름다움”이라는 취지로 산란, 반사라고 한 광학특성의 제어기술이 파운데이션에 대한 화장품과 무기계 분말기능 등에 크게 관계하게 됨.
이에 따라 기능성 분말을 개발하려는 입자설계와 그 구조에 관한 기술개발이 선행되어지고 있다.

□ 최근 개발된 저반사성 분체는 무반사막의 원리를 응용하여 체질안료표면에 굴절률의 경사 막을 형성하여, 투명감에 기여하는 입자표면에서의 광 반사 강도를 감소시킴. 보다 엄밀한 굴절률의 경사를 도모키 위해 산화티타늄과 알루미나 층간에 굴절률 2.1의 산화지르코늄 층을 끼어 넣어보면 표면반사광 감소에서는 현저한 효과는 없고, 3층으로 된 굴절률 경사 막으로 하였다. 각층의 두께는 산화티타늄 약 15 nm, 알루미나 약 3 nm, 실리카 약 20 nm 임. 표면반사광 강도에는 알루미나 두께의 영향이 커서 다른 것에 비해 두께를 두껍게 설정함. 한편 결점을 얼버무리는 데는 반사광과 투과광의 확산효과가 중요한 성질이므로 저 반사분체에서는 입자내부의 투과광을 각층 계면에서 반사, 굴절을 반복하는 것에 의거 확산됨(입자 내부 산란). 한편 피부에서의 반사광은 주름살 등의 형성인자, 혹은 기미 등의 색조인자를 반영하므로 이 피부표면정보를 반영하는 광을 확산하는 것에 따라 그 결점을 애매하게 하는 일이 가능케 하는 것임.

□ 최신 분체기술을 응용한 2 칼라-플롭성 분체(2 color-flop powder)를 개발하여 파운데이션에 응용한 예를 살펴보면, 파운데이션에 2중 색조분체(2 color-flop powder; 보는 각도에 따라 색조가 차이가 나는 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체감을 강조함과 더불어 얼굴을 작게 보이는 소위 소안(小顔)기능이 나타나는 분체를 개발하는 것인데, 이러한 색조에 관한 파운데이션의 개발에 가장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적/황색의 칼라-플롭(color flop)성을 선택하기 위한 입자설계를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있다. 이러한 것은 마이카(mica)상에 우선 제 1층에 적색산화철, 제 2층에 실리카, 제3층에 엷은 황색이 드러나는 철 도핑 산화티타늄(Fe doped TiO2)을 3층 피복하여 수행함.
이렇게 만들어진 2 칼라-플롭성을 나타내는 분체를 파운데이션에 사용하면 정면에서 빛을 받을 때는 눈 밑, 코의 정점부, 머리앞쪽은 밝게 보이고, 뺨, 코의 측면부 등은 적갈색이 강한 색으로 보이므로 얼굴의 입체감이 강조되어, 죄어지는 감이 연출되는 가능함은 고도의 분체기술이 화장품에 응용되어진 예임.
저자
Akio KASHI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5(4)
잡지명
표면과학(N25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8~242
분석자
임*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