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생산에서의 와전류탐상 시험법(Application and New Development of Eddy Current Testing Method (1) : Application : Eddy Current Testing in Steel Production)
- 전문가 제언
-
□ 와전류 탐상 시, 탐침의 선택에 따라 그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값비싼 탐상기를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최적의 탐침을 선택하여야 한다. 각 시험물체에 따라 탐침도 그에 맞게 제작하여야 하는 와전류 탐상의 특성상, 장비 구입 시 탐상 목적에 맞추어 탐침을 장비 공급 업체에 주문 제작하거나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라 판단된다.
□ 산업체에서의 제품 품질관리나 설비의 안전관리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재료 내에 존재하는 결함이다. 도체로 된 재료의 표면이나 표면 근처 결함 탐지에는 와전류 시험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요즈음에는 와전류 시험 방법이 전자기기의 발달로 표면으로부터 깊은 곳(skin depth의 20배 정도 깊이)에 존재하는 결함에 대해서도 탐지한 연구 사례도 있으나 산업체에서 미지의 결함을 탐지할 경우 등 실용성을 고려하면 비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 현재 와전류 시험에 의한 결함 탐지 방법은 거의 모든 금속 제품의 품질 관리와 주요 설비의 안전 관리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에는 튜브 제품, 주요 방산 제품의 품질관리와 원자력발전 설비나 항공기의 안전 관리에 활용하고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타제품에 대한 응용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와전류 시험 방법에서 시험에 영향을 주는 특성 인자인 시험물체의 크기와 형태, 커플링의 정도(lift-off distance 혹은 fill factor)가 시험 결과에 미치는 바를 이용하여 여러 제품의 품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산업체에서 결함탐지 방법 다음으로 품질 관리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크기 측정으로써 두께 측정과 sorting 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 저자
- Shinichirou KI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3(3)
- 잡지명
- 비파괴검사(M1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5~130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