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화상처리와 산업응용의 가능성(Current Trends of Facial Image Processing for Industrial Use)
- 전문가 제언
-
□ 2004년도의 국내 생체인식 시장은 1,000억원에 달하고, 이 가운데 지문인식은 50%, 얼굴인식 14%, 정맥인식 13%, 홍채인식 10%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이 가운데 얼굴인식은 다른 인식에 비해 비접촉식이어서 인식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특성으로, 각국의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 본문에서는 얼굴인식에서 앞서고 있는 일본의 기술현황과 추세를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응용분야가 매우 넓어서 산업적으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다고 본다.
□ 얼굴인식은 얼굴영역 추출, 특징 추출 그리고 매칭을 통한 인식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가장 중요한 얼굴 영역 추출에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은 PCA, ICA 등이 있으나 현재로선 복합 운용하는 것이 인식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 한편, 표정, 시각 등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도 필요하며, 눈, 코, 입 부위의 상대 위치를 미분 처리하여 선 성분을 추출해서 얼굴 윤곽선을 인식하는 기법도 개발되었고, 화상의 평면적 일치에서 입체적 일치를 추적하는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 이러한 얼굴 인식기술은 신분조회, 보안, 감시, 기타 얼굴 복원에도 이용되고 있어서, 각국의 개발 경쟁이 활발한데 최근엔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와 인공지능 시스템을 접목시켜서 닮은 얼굴의 판정도 가능하도록 진행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컴퓨터와 화상처리기술의 획기적인 발달에 따라 이미 얼굴 조각기술이 상용화 되는 등 국내 벤처기업들이 많이 생체인식 개발 등에 나서고 있어, 향후 활발한 산업응용 전망이 기대된다.
- 저자
- Hiroyasu KOSHIMIZU ; Takuma FUNAHASHI ; Takayuki FUJIWARA ; Jun-ichiro HAY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53(4)
- 잡지명
- 비파괴검사(M1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11~215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