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와전류탐상시험용 탐촉자의 개발동향 (Application and New Development of Eddy Current Testing Method : Application : Recent Probes in Eddy Current Testing)

전문가 제언
□ 교류가 흐르는 코일에서 발생한 자속이 시험체를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방해하는 기전력에 의해 시험체에 생성된 와전류를 검출하여 시험체에 존재하는 결함의 유무와 재질을 평가하는 와전류탐상법은 비접촉법으로 시험속도가 빠르며 자동화가 가능하고 고온·고압과 같은 악조건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며 표면결함의 검출능력이 우수하여 관, 봉, 선재 등의 제조 시 탐상검사와 보수검사 등 관련 산업계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이에 따라 선진기술국들은 재료, 기계류 제품, 그리고 구조물의 건전성을 점검하고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와전류탐상기술의 고급화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최근 화상신호처리와 같은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금까지 와전류 탐촉자가 얻었던 1차원의 시험신호에서 발전하여 일회의 탐상으로 2차원의 탐상이 가능하며,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자기광학효과를 이용하여 와전류를 화상으로 검출하는 등 와전류탐상의 고기능화·자동화기술에 대한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재료표면의 결점을 검출하는 와전류탐상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은 시험체의 품질을 판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와전류탐상의 최적화와 지능화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와전류탐상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능화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는 제철, 제관, 항공기, 에너지 장치산업 등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접부를 포함하는 구조부와 기계류 부품의 와전류탐상 기술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본고에서 정리한 일본 Nihon대학의 “와전류탐상시험용 탐촉자의 개발동향”에 대한 내용은 국내의 와전류 탐상검사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Hiroshi HOSHIK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3(3)
잡지명
비파괴검사(M15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0~124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