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분해성 고분자를 기초한 고분자 블렌드계 구조와 물성(Structure and Properties of Biodegradable Polymer-based Polymer Blends)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한 결정성/결정성 고분자 블렌드가 나타내는 특이한 고차구조인 상호침입 구정에 대해서 그 형성과정, 구조해석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 일반적인 고분자 블렌드 요건은 비결정성/비결정성, 결정성/비결정성 고분자들을 blending하는 것이 블렌드의 장점을 얻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즉 서로 다른 고분자가 상호 용해하지 않을 경우 블렌드 물질은 2상이 혼재하는 고체가 되어 블렌드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한다.

□ 그러나 본 연구 논문에서 결정성 특징을 갖고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들로 이루어진 결정성/결정성 고분자 조합에 있어서, 두 고분자들의 용융점이 비슷하면 블렌드가 형성된다.

□ 결정성/결정성 고분자 불렌드의 거시적인 구정 배열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하였고, 나아가 구정 배열을 제어할 수 있다면, 고분자 블렌드의 물성까지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다가 생분해성 물질을 사용한다면, 생분해성의 분해능, 거시적 구정 배열된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 특성에 대한 이해는 생분해성 고분자 블렌드의 응용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 보존 관점에서 폐플라스틱 재료의 리사이클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우선 합성고분자 물질을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대체 하는 것이 크게 기대되지만 아직 가격 면에서나 물성의 특성상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Takayuki Ikehara ; Zhaobin Qiu ; Toshio Ni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4(5)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8~52
분석자
원*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