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액정의 개발(Development of Organic-Inorganic Hybrid Liquid Crystals)

전문가 제언
□ 최근의 재료공학 연구는 구조재료에서 기능재료로, 또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재료의 기능이 변화하는 고기능성 인텔리젠트 재료로 바뀌고 있다.

○ 유기 고분자는 가볍고 유연하며 인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반면에, 유리나 티타니아 등 무기재료는 내열성, 탄성, 표면강도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유기물과 무기물을 조합하여 새로운 고기능성 복합재료를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 T. Sugimoto 등은 단분산 미립자의 간편한 제조기술인 졸겔법을 이용하여 형상 이방성을 갖는 단분산 미립자를 합성하고, 얻어진 티타니아 미립자와 아미노기를 도입한 유기 액정 분자와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에 의해 무기 미립자의 서모트로픽 액정화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3차원 규칙배열기술이나 조직구조 형성기술 등 다양한 고기능화 기술에의 응용이 기대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기본적인 졸겔법에 의한 유기무기 혼합재료의 제조와 물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분야에서의 우리나라 기술수준은 아직 선진국에서 발표된 논문을 모방하는 단계에 있으나 부분적으로는 세계적으로 우수한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 2000년도에 산업자원부는 차세대 신기술지원사업 분야에 고기능 나노복합재료의 개발을 포함시키고 고기능성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개발을 적극지원하고 있다.

□ 액정의 응용분야는 디스플레이 등 전자분야뿐 아니라 액정의 색이 온도에 민감하므로 금속에 도포하여 열전도도의 변화나 조직상의 결함을 정확히 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액정의 색은 낮은 농도의 불순물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대기오염 검사에도 사용되는 등 응용분야가 광범하다.

○ 특히 앞으로 액정의 응용분야로 기대되는 것은 생체계의 응용으로 정교하고 난해한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다.
저자
Kiyoshi Kanie, Tadao Sugi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24(5)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4~73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