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아조 벤젠 액정 필름을 이용한 고효율 브래그 홀로그램(Highly Efficient Bragg Holograms using Polymer Azobenzene Liquid Crystal Films)
- 전문가 제언
-
□ 영국의 과학자 게이버(D. Gaber)는 전자현미경에서 전자의 물질과 파면(wave front)에 대한 정보를 필름 면에 기록하여 전자보다 만 배 이상의 파장으로 가시광선을 재생하여 전자현미경의 배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원리를 제안하였다. 게이버의 발상은 물체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면에 대한 정보를 필름에 기록하는 혁신적인 것으로 이렇게 기록된 필름을 게이버는 홀로그램(hologram)이라 하였다. 홀로그램에서 그 파면을 재생하면 완벽하게 그 물체로부터 퍼져나가는 것과 같은 빛을 만들어 낼 수 있어 물체가 실제상태처럼 관측되며 이 기술을 홀로그래피라 한다.
□ 1961년 He-Ne 레이저가 나온 후 미국의 레이스(E. Leith)에 의해 이 특별하게 간섭성이 좋은 빛을 이용한 오늘날의 홀로그래피가 재발견되었다. 그 후 계속해서 새로운 형태의 홀로그래피가 계속 발표되었으며, 이를 응용한 신기술이 개발되어 더욱더 그 보급과 응용이 확대되었다.
□ 홀로그래피는 빛의 간섭과 회절현상을 이용하며, 기록이나 재생을 완전히 3차원 화상으로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홀로그래피의 재료는 주로 기록 재생을 위한 것이었으나, 고쳐 쓸 수 있는 홀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빛의 굴절 율을 빠르게 하고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재료의 제조가 필요하다. 이러한 새로운 재료로서 결정성과 광 응답성을 가진 새로운 고분자 아조벤젠 액정을 개발해서 액정상과 등방 상을 빠르게 고속으로 광 변환할 수 있는 것을 제조하였다. 2광속으로 나눈 레이저 광을 고분자 액정 박막 상에서 간섭시켜 광 상전이를 유도하면 고쳐 쓸 수 있는 홀로그램 기록이 가능해진다.
□ 본고에서는 고분자 아조벤젠 액정 필름을 고 회절 효율의 브래그 형 홀로그램 개발에 대해 소개하였다. 광 응답성, 액정성 그리고 투명성을 가진 분자를 고 중합해서 회절 율이 높고 고쳐 쓸 수 있는 고분자 홀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 이러한 홀로그램의 제조기술은 향후 성능과 기능이 우수한 광 디바이스 제조에 많이 활용될 것이며 이로 인한 질 좋은 광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저자
- Atsushi Shishido ; Tomiki Ike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4(5)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9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