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테크에 의한 내화물 개발 (The Present and Future in Refractories : The Development of Refractories by Applying Nano-Technology)

전문가 제언
□ 본 제언자의 박사학위 논문은 전로용 피치(pitch) 함유 마그네시아 연와로 도가니를 만들어 여기에 합성 제강 슬래그를 장입하여 1,600℃에서 2시간 반응실험 후 슬래그 침투를 방지하는 치밀한 MgO층의 존재를 입증하는 실험실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 이러한 실험결과에 의거하여 준안정상태에서의 도가니의 탈탄층에 MgO를 생성하여 치밀 층을 형성하는 수학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이 수학적 분석은 실험실 관찰의 해석과 그리고 제강가동요인과 관련하여 연와성능의 해석에 대단히 유용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 원저자의 논문도 이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우리도 원저자가 기술한 바와 같은 “나노 내화물 연구회”를 조직하여 연구 활동을 개시하는 것도 대단히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ickering 과 Batchelor (1971), Leonard 와 Herron (l972) 및 Brezny 와 Landy (l972) 등이 제창한 “MgO 치밀 층 형성” 이론을 본 제언 자가 설정한 모델에 의하여 간략하게 그 화학반응 시스템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체탄소와 제강슬래그 사이에는 언제나 탈탄 층이 존재하고 탄소/탈탄층 경계와 탈탄층/슬래그 경계 그리고 두 경계사이 즉 탈탄 층이 모두 반응 사이트가 된다. 우선 탄소/탈탄층 경계에서 C+CO2=2CO 와 C+MgO=CO+Mg 의 탈탄반응이 일어나고 탈탄층/슬래그 경계에서는 FeO+CO=Fe+CO2 와 FeO+Mg=Fe+MgO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탈탄 층에서는 Mg+CO2=MgO+CO 반응이 주로 일어나 MgO 치밀 층을 형성한다.
저자
Tsunemi Ochia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6(4)
잡지명
내화물(S55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159
분석자
김*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