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리얼 섹션에 의한 철강조직의 3차원적 특징과 해석(Three-dimensional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Steel Microstructure of Serial Sectioning)

전문가 제언
□ 편광현미경으로 보기 위해 만든 두께 0.02㎜~0.2㎜ 정도인 얇은 조각이나 이것을 제조하는 작업을 박막섹션(thin section)이라 한다. 암석 편을 철판과 유리판 위에서 한 면을 카보런덤으로 문질러 아주 매끄럽게 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캐나다발삼으로 붙여 가열하고 그 위에 매끄러운 암석의 한 면으로 강한 압력을 가한다. 슬라이드 글라스를 뒤집어서 철판과 유리판에서 갈아 두께 0.02~0.2㎜로 만들어 이것을 덱 글라스의 한 면에 캐나다발삼으로 뜨거울 때 붙여 얇은 조각을 만든다.

□ X-선 단층촬영(tomography)은 연직선상의 상단에 X선의 초점을 하단에 필름을 수평으로 놓고 선상에서 임의의 한점을 중심으로 하여 초점과 필름을 반대 방향으로 원운동 시키면서 촬영하면 축의 중심이 된 면만 상이 선명하게 찍히고 나머지 그림자는 희미해진다. 축의 중심을 이동하면 각 단면을 따로 따로 촬영할 수 있다.

□ 재료 연구의 기분적인 방법으로 조직 관찰이 많은데 대부분 2차원 관찰로 시행되고 있다. 투과 전자 현미경 관찰에서도 박막의 두께에 대해서는 관찰하지 않고 2차원적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러나 2차원 정보는 한계가 있어 재료 조직에 필요한 더 많은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화상으로 데이터가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어 의료를 비롯한 각 방면에서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재료 분야에서도 원격 시리얼 섹션(serial sectioning)으로 재료 조직의 3차원 분석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3차원 가시화는 X선 단층촬영(tomography)도 이용되는데 이것은 시료를 연마하여 촬영한 2차원 단면 영상을 겹쳐서 입체적으로 합성하는 것이다.

□ 시리얼 섹션 자동장치 Robo-Met.3D도 개발되어 실용화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철강 조직을 중심으로 3차원 가시화와 그 응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시리얼 섹션의 이용은 컴퓨터의 발달로 단면 화상을 쉽게 통합하고 연마에 대한 기술도 향상되어 박막섹션(thin section) 기술이 더욱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이러한 기술이 재료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크게 이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저자
Masato ENO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90(4)
잡지명
철과 강(C08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3~189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