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중위생대학원에 있어서의 유럽 사회의학의 영향(Influence of European Social Medicine on US Public Health Schools)
- 전문가 제언
-
□ 유럽 사회의학은 유럽 지역에 있어서 사회와 의학의 발전으로 초래된 사회적, 학문적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즉 산업혁명 이후 유럽 사회의 변화에 대처한 위생 개혁 운동이 사회의학의 기원이며, 국민 건강의 전반적 향상을 위해 의료의 사회화를 통하여 의료의 평등한 공급을 지향하는 개혁 운동의 총체이다.
□ 미국의 주요 공중위생대학원은 개인 사업가의 자선사업의 일환으로 성립되었으며, 근본적으로는 실무자의 육성이 목적이었다. 이들 대학원은 통계학적 연구방법론을 의학에 도입하여 임상의학, 사회의학, 의료 및 보건 행정에서 획기적 발전을 하였고 일약 사회의학의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공중위생대학원의 실용주의와 시장경제 지향은 의료의 평등한 공급을 지향하는 유럽 사회의학과의 학문적인 단절을 가져왔다.
□ 오늘날 개인의 건강은 사회와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공해와 환경오염이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예방의학을 기초로 하는 현대의 공중위생학은 질병의 예방뿐 아니라 건강에 유해한 환경적, 사회적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사람들의 건강 상태와 생활의 질을 유지, 증진시키는 모든 환경을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어야 할 것이다.
□ 한국은 1959년 서울대학교에 한국 최초의 보건대학원이 설립된 이후 연세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보건대학원을 설립하여 보건통계학, 역학, 보건행정, 산업보건학 등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1963년에 설립된 국립보건원은 전염병의 연구와 관리, 생명과학의 연구, 보건 요원의 양성 등으로 한국 공중보건의 발전에 많은 업적을 남겠다.
□ 한국의 공중보건학의 역사는 유럽 선진국에 비해 짧지만, 불과 반세기만에 근대 공중 보건을 확립하여 의료의 사회보장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앞으로 한국 공중위생학은 미국과 유럽의 공중위생의 장점을 도입하여 한국 사회에 적합한 방법론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자
- Takashi OKU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59(1)
- 잡지명
- 일본위생학잡지(F15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11
- 분석자
- 박*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