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함께 더불어 온 철도 고속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철도를 고속화하여 보다 높은 품질의 수송을 제공하려면 산업으로 성립시켜 기술개발에 대한 인센티브(incentive)가 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많은 양의 차량을 저비용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표준화를 추진한다는 관점도 중요하며, 우리나라의 시장 뿐 아니라 해외시장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방책도 모색해야 한다.
□ 철도관련 산업이 어떻게 되느냐? 자동차 기술의 활용과 융합을 어떻게 진행시킬 것인가? 철도기술을 어떤 식으로 전승해 갈 것인가? 또 철도기술자를 어떻게 육성해 갈 것인가? 등의 관점도 의논해야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 정체를 빚고 있는 일반도로가 경쟁 상대가 되는 대도시에서의 도시교통이라면 철도가 절대적으로 우위성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고속도로와 병행하는 재래선의 경우에는 도시 간이나 도시 내를 포함하여 매력이 적다고 본다. 경부선의 경우에는 장거리에서 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더 빠른 고속화가 필요하며, 재래선의 입장에서는 최고속도 향상 등 획기적 변화가 필요하지 않겠나 생각된다.
□ 또한 최고속도의 향상만이 아니라 교통시스템에의 접근시간 단축도 중요하다. 즉 여행계획 시간의 단축(적절한 루트 선택) 열차표의 구입시간 단축 또는 생략, 환승 시간의 단축 또는 직통으로 환승시간의 생략, 역 구내에서의 접근이동시간의 단축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의 기술개발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즉 열차표의 사전구입이라든지,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불필요한 이동을 없애기 위한 차내에서의 서비스 기술과 차량기술의 융합 등이 있을 것이다.
- 저자
- Sueda, Yosi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91(3)
- 잡지명
- 전기잡지(A0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3~39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