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컬러 팩시밀리와 화상.신호처리(Color Devices and its Image Processing (V))

전문가 제언
□ 컬러 팩시밀리의 디바이스적 독자성은 부호화된 컬러 정지화상을 공중 회선을 통해 송수신하는 데 있다. 즉, 컬러 팩시밀리는 모노크롬 팩시밀리(monochrome facsimile)와 다른 디바이스가 아니라, 모노크롬 팩시밀리에 컬러 기능을 옵션으로 부가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 프로토콜(protocole)은 모노크롬 팩시밀리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부호화(coding) 방식만 다르다. 이 부호화 방식은 JPEG 베이스 라인 규격이 기본이며, 사용자 선택으로 옵션 부호화 방식도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컬러 팩시밀리의 화상 신호 처리는 송신 측과 수신 측으로 나누어 수행된다. 먼저 송신 측에서 송신 원고를 스캐너로 읽어 RGB로 색 변환되고 표준 색 공간을 통해 부호화된다. 즉, 표준 색 공간으로 스캔된 원고 화상 데이터는 JPEG 베이스 라인 등의 표준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송신된다. 통신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복호회로를 거쳐 표준 색 공간 상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 후, CMYK 등 컬러 프린터 특유의 색 화소(picture element)로 인쇄된다.

□ 오늘날 컬러 팩시밀리에 채용되어 있는 표준 색 공간에는 CIELAB과 sYCC의 두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CIELAB은 프린터(하드 카피)용으로, 그리고 sYCC는 디스플레이(소프트 카피)용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CIELAB가 시기적으로 먼저 규격화되었기 때문에 2003년까지 판매된 컬러 팩시밀리에 전적으로 이 방식을 적용 상품화되었으나, 향후에는 보다 간편한 sYCC을 탑재한 컬러 팩시밀리가 출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 표준 색 공간 CIELAB은 국제조명위원회(CIE)에서 심리적 물리량에 기초하여 정한 색 공간 개념이며, sYCC는 sRGB를 입력 값으로 하여 RGB에서 YCbCr로 변환한 색 공간이라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표준 부호화 방식 JPEG 베이스 라인은 이산 코사인(cosine) 변환(DCT)을 기본 기술로 한 비가역 부호화 방식으로 자연 화상의 압축에 적합하여 많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되고 있다.
저자
Hideaki YAM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33(1)
잡지명
화상전자학회지(N459)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5~52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