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 Se. Te.함유 5각 고리분자를 이용한 산화환원계의 설계(Design of Reversible One-electron Redox Systems Using Five-membered Heterocycles Containing Sulfur, Selenium, and Tellurium)

전문가 제언
□ 이 논문은 일본 Iwate university 응용화학과 교수 Satoshi Ogawa에 의하여 일본과학성의 연구비로 집필한 내용이다. 인용한 문헌은 이 분야에 관련된 외국의 문헌을 골고루 참고하여 집필하였다.

□ 20C까지는 기능성소재의 대부분은 무기재료에 의존하여 왔다. 그 대표적인 기능소재는 자성재료, 반도체재료, 초전도체재료, 그리고 나노기술을 꼽을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대부분이 자연 상태에서 가지고 있는 물성을 발굴하는 것이 연구의 주제로 되어있었고 특수한 분야의 경우 이외에 목적하는 물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재료설계에 대한 연구는 지난세기 말부터 활성화된 것으로 알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고온초전도체, 나노기술을 들 수 있다.

□ S, Se, Te 함유 5각 고리화합물에 대한 물성연구는 기초과학이며 미래를 내다보는 차세대의 연구로 보여 진다. 무기소재의 배합설계에 대한 단순성에 비하면 유기화합물의 세계에는 다양한 기능을 내포하고 있을 가능성은 무궁하다고 보여 진다. 이 논문도 한계에 부닥친 무기소재의 기능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소재를 유기화합물에서 찾을 여고 하는 의도로 보여 지며 이 분야의 연구 성과는 앞으로 크게 기대된다. 그 이유로서는 유기물질의 구조의 다양성, 거기에 따르는 물성의 다양성, 유기분자에 금속원소의 도입, 각종 커플링의 가능성 등이 다양한 물성을 설계할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다.

□ 유기화합물이나 무기화합물이 불안전하면 거기에는 특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물성이 내포되어 있을 확률은 높다고 본다. 불안전한 화합물은 안전화 되지 않으면 소재로서의 가치가 없어진다. 이 논문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대한 안전화과정이 언급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알려진 안전화과정의 분위기는 압력, 시간, 온도, 촉매 등으로 알려져 있다. 공업화를 위한 여러 가지 기능소재를 유기물질에서 찾을 여고 하는 연구의 방향은 매우바람직하며 우리의 기초연구도 이러한 분야로 방향을 서서히 돌릴 것을 권장하고 싶다.
저자
Satoshi Og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2(2)
잡지명
유기합성화학협회지(A011)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0~149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