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세테이트 섬유의 개발동향(The Trend of Acetate Fiber R&D)

전문가 제언
□ 아세테이트 섬유의 응용분야는 앞으로 의류뿐만 아니라 산업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리라고 본다. 중국의 저가품의 수출로 한국의 섬유산업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아세테이트 섬유의 극세화, 방사혼직, 이형단면, 특수방사, 혼합방사 등의 특성을 살려 기능성과 웰빙(well-being)에 편성해 환경친화적 상품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아직 이 섬유의 개발 가능성은 높다고 본다.

□ 천연섬유가 고가인 까닭에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합성섬유는 특수한 기능을 제외하고는 천연섬유로 대체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아세테이트의 개발 단계를 보면 셀룰로오스의 수산기를 아세틸화함으로써 제품을 개발해왔고 또 다른 섬유와 다양한 방법으로 혼방, 혼직을 통해서 새로운 여러 가지의 제품을 개발해 왔다. 그러나 지금 현재로서는 만족할만한 신제품이 미흡하다. 타르 성분을 제거하기위한 필터제로서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 단순히 수산기의 아세틸화 방법보다는 제조과정에서 직접 타 섬유의 제조과정과 한 반응기에서 합성함으로써 섬유의 단점을 보완하고 각자의 기능성을 가진 섬유를 개발할 수 있고, 무수 초산과 다른 치환체와 혼합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품질의 단점을 보완할 수가 있다. 웰빙 방법으로 제조과정 중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첨부하거나 향기가 나도록 캡슐화 하는 등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아세테이트 섬유를 고급화 할 수 있겠다.

□ 우리나라는 1980~1990년에는 섬유수출의 대국이었다. 2000년대에는 섬유시장의 일부를 중국에 내주고 있고 고가품은 이탈리아, 일본, 독일에 밀리고 있다. 아직까지 이탈리아 고급품의 시장은 세계시장의 주역으로 군림하고 있는 것처럼 아세테이트 섬유의 지금까지의 개발을 토대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전념 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저자
HIDEO SAKAK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0(4)
잡지명
섬유학회지(FIBER)(C07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2~89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