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펩타이돔 연구의 최근 동향(Frontiers in Peptidome Research)

전문가 제언
□ 게놈연구에서는 분석법에 상관없이 결정된 배열정보만이 중요하지만, 프로테옴이나 펩타이돔의 연구에서는 분석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비교하기 위해서는 표준화한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의 분리·검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 프로테옴 및 펩타이돔 해석에 관한 국제적인 기준이나 표준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향후 프로젝트나 기업을 초월하여 정보를 공유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우선 시급한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생체 내의 정보전달이나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생리활성 펩타이드는 조직함량이 극히 낮기 때문에 정제가 힘들며, 지금까지 100여종 정도밖에 발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생체에는 아직 기존에 알려진 펩타이드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생리현상이 알려져 있으며, 더욱이 게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수의 「orphan 펩타이드 수용체」의 존재가 시사되는 것으로 보아, 많은 수의 발견되지 않는 생리활성 펩타이드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얻어진 게놈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의 실상인 펩타이드나 단백질의 정보를 수록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생체 내 모든 펩타이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질환을 해명하고, 진단법이나 검사법의 개발, 의약품이나 치료법의 개발 등, 의학, 약학, 생물학 분야에 필요한 지적정보기반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의 과정에서 많은 신규 생리활성 펩타이드가 발견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Naoto MINAMINO ; Hiromiki KUWAHARA ; Yasuko MATSUI ; Takahiro KIHARA (etc.)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42(3)
잡지명
화학과 생물(L109)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2~169
분석자
김*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