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병원성 미생물 phytoplasma(A Little Life without Work : How Little Genetic Information can a Living Organism contain and Still be considered alive)
- 전문가 제언
-
□ Mollicutes 강으로 분류되고 있는 phytoplasma는 세포벽이 없는 원핵미생물로 식물질병과 관련되며 수백종의 식물 중에 600여종 이상의 질병을 일으키고 있다. 감염된 식물은 잎의 황화 및 적화, 위축생장 및 소엽화, 꽃의 엽화 및 불임화, 빗자루병 등 다양한 병징을 유발, 식물을 쇠약화 또는 사멸시킴으로써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과 수목에 피해를 준다.
□ Phytoplasma는 주로 매미충, 멸구와 같은 곤충매체의 장관 벽으로 이동하여 hemolymph에서 증식하게 되며 곤충이 식물사관부에서 먹이를 흡착할 때 타액과 함께 새로운 숙주의 사관부로 전파되어 식물에서 식물로 감염된다.
□ 양파의 황화병을 일으키는 onion yellow phytoplasma OY-W는 1982년 5월, 일본 Saga현에서 분리되었으며 꼭지매미충(Macrosteles striifrons Anufriew)에 의해서 전염된다. Phytoplasma는 배양이 어렵기 때문에 연구가 지연되었지만 최근 일본에서는 20여년전에 분리한 OY-W 균주 및 이 균주의 변이주인 OY- M, OY-NIM 변이주에 대한 phytoplasma 게놈 프로젝트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여 작년에 식물 병원성 세균으로는 세계 4번째로 Phytoplasma asteris OY-M 균주의 전 게놈(860 kb)이 해독되었으며 특히 동식물세포내에 기생하는 미생물의 게놈 해독은 세계 최초로 이루어진 것이다. 앞으로 phytoplasma와 숙주(식물 또는 곤충) 사이의 다양한 상호 작용에 대한 분자적, 유전적 기작이 해명될 것이며 내성식물의 창제나 치료법의 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국내에서는 80년대 초에 붉나무 빗자루병을 위시하여 대추나무, 오동나무, 왕쥐똥나무, 참싸리, 개나리 빗자루병 등 식물 phytoplasma 연구와 이들 병원균의 방제 및 전염경로에 대한 연구가 추진된 바 있으나 앞으로 phytoplasma와 관련된 식물질병의 진단기술 개발은 물론 phytoplasma간의 유전적 변이, phytoplasma 집단 또는 아집단간, 그리고 다른 Mollicutes와의 분자계통 분류연구와 숙주-병원체의 상호작용, 숙주 저항성 및 그 방제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길 바란다.
- 저자
- Kenro OSHIMA ; Shigetou NAMB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42(3)
- 잡지명
- 화학과 생물(L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4~160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