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획득면역에 있어서 당쇄의 역할(Roles of carbohydrates in acquired immunity)

전문가 제언
□ 면역계는 자가(자신의 몸)와 비자기(非自己 ; 침입된 미생물)를 식별하며 비자기를 효과적으로 배재하는 생체 반응계로서 미생물이 생성하는 단백질은 이물 또는 항원으로 인식하여 peptide에 의해 분해된 후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분자(classⅠ, classⅡ)에 의하여 T세포에 항원 제시된다. T세포는 세포표면에 발현된 T세포 항원 수용체를 매개하여 MCH;peptide복합체를 인식한다. MHC classⅠ분자에 의하여 활성화된 T세포는 CD8 양성 Killer T세포로서 미생물에 감염된 세포를 배제하는 역할을 하며 ClassⅡ분자에 의해 활성화된 T세포는 CD4 양성으로 B세포에 움직이며 미생물에 대한 항체 생산을 촉진한다. 또한 일부의 T세포는 memory T세포로 되어 다음에 같은 미생물의 침입을 받았을 때 신속하고 효율적인 면역응답이 되도록 준비기능을 갖추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MHC분자를 매개한 peptide항원 제시는 항원특이적인 T세포 반응이나 항체 생산을 규정하는 최초의 단계로서 생체 방어반응의 근간을 이루는 면역계이다.

□ 면역계가 단백질과 지질을 항원으로 인식하며 T세포반응을 야기하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미생물 감염에 대하여 두 가지 독립된 반응계를 갖고 있는 것은 효율적인 감염방어의 관점에서 매우 유익한 것으로 CD1분자를 개입하며 지방항원 제시가 감염 면역에만 관여한다는 생각은 옳지 않으며 암면역이나 면역억제를 포함한 넓은 의미로서 생체방어 기능의 영역을 담당한다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며 지질항원을 제시하는 새로운 항원제시 분자의 연구가 새로이 진행되어 지질(脂質) 백신 등에 대한 치료제가 기대된다.

□ 돼지에 존재하며 인간에게 존재하지 않은 당쇄말단에 α1-3결합된 galactose잔기를 갖는 당쇄구조는 급성 거부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돼지장기를 이식하여 의료에 응용하였을 때에는 이종단백질을 비롯하여 면역학적 거부반응 등 여러 가지 큰 문제가 야기되나 앞으로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이를 극복할 시기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Hiroto Kawashi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76(3)
잡지명
생화학(A015)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07~218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