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컬러 매니지먼트의 개요 (Color Management : Foundation : Introduction to the Color Management System)

전문가 제언
□ 근년, 영상기기의 풀 컬러화와 인터넷의 보급에 의해 이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하여 적당한 소프트웨어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거나 프린터로 용이하게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의 색상과 프린터로 인쇄한 색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이와 같은 색상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컬러 관리의 필요성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 컬러 관리란 스캔한 이미지의 원래 색상이 모니터의 화면과 프린터로 인쇄한 출력물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장비가 가지고 있는 개별의 색상 영역을 이용하여 입력에서 출력까지 일관된 관리를 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 컬러관리시스템(CMS)은 CIE 모델과 같은 표준 컬러 모델을 사용하여 장치에 관계없이 같은 컬러들을 재현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컬러관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프로파일링(profiling), 컬러 변환(color transformation)이라는 3단계를 거쳐서 완성된다.

□ FORGRA사의 Ralf Kuron에 의해 산재되어 있는 디지털 매체의 평균이 되는 RGB 공간(sRGB)이 제안되어 ICC에서 표준으로 채택하였다.

○ 컴퓨터의 모니터뿐 아니라 TV,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에 대해서 각각의 표준 장치를 지정함으로써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미지의 색상 일치도 어느 정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현재, Microsoft사 등에서 sRGB를 인터넷을 위한 기본 색상 공간(default color space)으로 사용하고 있다.
저자
Shoji Tominag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28(1)
잡지명
일본색채학회지(J713)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52~58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