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현대 제강 슬래그의 부피안정성 (The volume stability of modern steelmaking slags)

전문가 제언
□ 세계철강생산 5위국인 우리나라는 2004년 8월 현재 4,600만 톤에 이루고 있다. 포항제철이 2,900만 톤을 차지하고 있으며, 타 전기로회사들이 나머지를 생산하고 있다. 포항제철도 전기로 제강능력이 있으나 편의상 모두 고로제선-BOS 제강으로 가정하면 2004년의 슬래그 생산량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2900만 톤 조강 x (0.3(고로제선) +0.1(BOS제강)) +
1700만 톤 조강 x 0.1(EAF제강) = (1160 +170)만 톤 슬래그 =
1330만 톤 슬래그

□ 고로 슬래그는 1981년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에 관한 한국산업규격이 제정되었으며 l983년 대한토목학회에서는 고로 슬래그 굵은 콘크리트 설계·시공 지침이 제정됨으로서 슬래그 골재의 시공을 시작하였다. 슬래그 골재의 사용과 발전을 그 재료의 사용자인 토목분야에서 선도하였다.

□ 도로를 포함하는 사회간접시설의 확대와 강화되는 환경정책으로 인하여 도로와 콘크리트용 천연골재는 점차 고갈되거나 혹은 원가압력이 가중되는 시점에서 제철제강의 산업부산물의 인조골재로의 이용은 일석이조의 효과로 원가 면에서 단연 우세하다.

□ 제철·제강 슬래그는 폐자원으로서 그 처리방법 및 감량화가 문제로 부각된바 있으나, 현재는 시멘트, 골재 등 건자재로의 재활용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슬래그골재는 슬래그를 만든 재료 인이 슬래그의 연장선에서 처리하여 시용자인 토목 인에게 만족스러운 제품을 공급하도록 일층 더 그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Juckes, L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12(3)
잡지명
TRANSACTIONS OF THE INSTITUTION OF MINING AND METALLURGY SECTION C-MINERAL PROCESSING AND EXTRACTIVE METALLU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7~197
분석자
김*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