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 전문가 제언
-
□ SARS는 2002년 11월부터 중국 광둥성 지방을 중심으로 발생하여 이후 빠른 속도로 홍콩, 싱가포르, 캐나다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신종 전염병으로 SARS-CoV에 의해 발열, 기침, 호흡 곤란, 폐렴 등을 보이는 급성 호흡기 증후군이다. 발생 초기인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총 환자수 8,098명, 사망자수 774명으로 치사율은 9.6%이다. 발생 환자 중 보건의료인은 1,707명으로 21%에 달한다.
□ 모든 유행 지역에서 사스의 주요 전파 경로는 전염성이 있는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눈, 코, 입을 통한 직접 접촉이었으며, 공기에 의한 전파는 뚜렷한 증거가 없다. 한 사람의 환자는 평균 3명을 감염시켰으며, 바이러스가 포함된 비말과의 직접 접촉에 의한 것이며, 기침에 의한 공기 전파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자주 손을 씻는 등의 단순한 예방 조치로도 전파 속도를 늦출 수 있다.
□ 보건의료인, 특히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시술에 참여하는 의료인이 고위험군으로 전체 환자의 21%를 차지한다. 이들 의료진 중에는 마스크, 고글, 가운, 장갑 등 개인 보호구를 착용했음에도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소수에서는 경증 환자에 짧은 시간 노출되었는데도 감염된 경우도 있었다.
□ 호흡기계를 통하여 바이러스가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기는 발병 후 10일경이며,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발병 2주째의 중증 환자나 급속히 임상 증상이 악화되는 환자에게 폭로되었을 때 전파가 가장 활발하며, 발병 후 5일 이내에 격리되면 2차 전파는 크게 감소된다. 환자가 발열이 없어지고 10일 후에는 전염을 시킨다는 증거가 없으며, 세계보건기구의 접촉자 관리 및 퇴원 기준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 사스는 현재까지 소아에게는 드물게 발생하며, 특히 소아 사이의 전파는 보고된 적이 없다. 역학 조사 결과 사스가 학교에서 전파된 경우는 없으며, 임신 기간 동안 감염된 임산부의 영아에 전파된 증거도 없다. 그렇지만 소아에서 무증상 또는 경증 감염의 가능성은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저자
- Wang, JT; Chang, S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7(2)
- 잡지명
- LKY, 2003, LANCET, V361, P1615; TSANG OTY, 2003, EMERG INFECT DIS, V9, P1381; TSUI TP, 2003, EMERG INFECT DIS, V9, P1064; WANG JL, 2003, AM J MED, V115, P421; YU D, 2003, MMWR-MORBID MORTAL W, V52, P986; ZHONG NS, 2003, LANCET, V362, P13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3~148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