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균과 상처 치료(Bacteria and wound healing)

전문가 제언
□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에 대하여 복수의 내성을 갖는 세균들이 출현함으로써 인체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작으로 광범위한 항균효과를 갖는 의약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계속되고 있으나 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최근 세균 감염에서 일부 병원균들이 일정 수준 이상의 개체군(Population)이 되면 저분자량 신호전달 물질을 만들어 세포 간 연락(Quorum Sensing)이 이루어지고 독소 유전자 등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한다. 따라서 일부 과학자들은 이러한 세균 사이의 연락을 방해하면 인체 감염이나 생물막 형성을 위해 세균이 결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우리는 분자생물학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의 신호전달과정을 차단하는 약을 개발하면 세균 감염을 더 쉽게 예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일부 병원성 세균은 물체의 표면에 미세집락을 만들고 이들이 합쳐져 생물막(Biofilm)을 형성한다. 이 생물막은 항생제나 인체의 면역체계 기능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물막에서 항생제 내성이 증가하는 유전적 원인을 알아내는 것도 인체 감염을 막는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병원성 세균이 인체 내에서 생물막을 형성하면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생물막은 물체의 표면에서 생성되는데 요즈음 인간의 신체 속에 여러 인공 의료장치가 삽입되고 있기에 이러한 의료장치에 병원성 세균의 생물막이 생성된다면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인공 의료장치의 삽입에 따른 세균 감염에도 많은 주의가 기울여져야 한다.

□ 인체 내의 생물막 형성은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나 수처리나 오염물질 제거에 생물막을 이용하면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저자
Edwards, R; Harding, K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7(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NFECTIOUS DISEAS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1~96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